리처드 스톨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스톨먼은 미국의 프로그래머이자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가로, 1953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위를 받았으며, MIT 인공지능 연구소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하며 해커 커뮤니티에 참여했다. 1983년 유닉스 운영 체제에 대한 자유로운 대안을 만들기 위한 GNU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1985년에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을 설립했다. 스톨먼은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옹호하며, 저작권 축소, 감시 저항 등과 관련된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GNU Emacs, GCC, GNU 디버거, GNU make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기여했으며, 자유 소프트웨어의 수정 및 재배포 권리를 보호하는 카피레프트 개념을 널리 알렸다. 2019년 MIT와 FSF에서 사임했으나, 2021년 FSF 이사회에 복귀했다. 그는 다양한 상을 수상했으며, 프로그래밍 관련 매뉴얼과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에세이를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NU - 카피레프트
카피레프트는 저작권자가 저작물의 복제, 배포, 수정의 자유를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2차 저작물에도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하여 자유로운 공유와 발전을 장려하는 개념으로, 리처드 스톨만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일환으로 알렸으며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가 대표적이다. - GNU - 엘림넷과 하이온넷 사건
엘림넷과 하이온넷 사건은 엘림넷 직원이 GPL 라이선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경쟁사인 하이온넷에서 사용하며 소스코드 유출, 영업비밀 침해 등의 문제로 법적 분쟁이 발생한 사건이다. - GNU 관계자 - 이벤 모글렌
이벤 모글렌은 미국의 법학 교수이자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가로, GNU GPL 시행과 GPLv3 초안 작성, SFLC 및 FreedomBox 재단 설립 등을 통해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 기여했으나 최근 학대 행위 혐의로 논란이 되었다. - GNU 관계자 - 윌리엄 존 설리번
윌리엄 존 설리번은 자유 소프트웨어 및 자유 문화 운동에 기여하고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전무 이사를 역임하며 디지털 권리 관리 등의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 인물이다. - 리눅스 관계자 - 리누스 토르발스
리누스 토르발스는 1969년 핀란드에서 태어난 컴퓨터 과학자이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며,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인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여 핵심 개발자로 활동하고, Git 버전 관리 시스템 개발에도 참여했다. - 리눅스 관계자 - 앨런 콕스
앨런 콕스는 리눅스 커널 개발에 기여하고, 핵심 개발자 및 관리자로 활동했으며, 자유 소프트웨어 옹호 활동을 펼쳤다.
리처드 스톨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리처드 매슈 스톨먼 |
다른 이름 | rms (RMS) |
출생일 | 1953년 3월 16일 |
출생지 | 뉴욕 시, 뉴욕, 미국 |
![]() | |
학력 | |
최종 학력 | 하버드 대학교 (학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중퇴) |
직업 | |
직업 | 활동가 프로그래머 |
소속 | FSF 이사 및 의결권 있는 회원 |
주요 활동 | |
주요 공헌 |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GNU GNU Emacs GCC GPL 카피레프트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
수상 | |
수상 내역 | 맥아더 펠로십 ACM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 상 EFF 파이오니어 상 ACM 소프트웨어 시스템 상 인터넷 명예의 전당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살아온 길
리처드 스톨먼은 1953년 3월 16일, 뉴욕에서 앨리스 립먼과 대니얼 스톨먼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에 관심을 보였으며, 고등학교 시절 IBM 뉴욕 과학 센터에서 프로그래밍 경험을 쌓았다. 이후 하버드 대학교를 거쳐 MIT 인공지능 연구소에서 활동하며 해커 문화의 중심 인물로 성장했다. 그의 생애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주요 활동 및 사건 |
---|---|
1953년 | 뉴욕에서 다니엘 스톨만(Daniel Stallman)과 앨리스 립먼(Alice Lippman)의 아들로 출생.[12] |
1971년 | 하버드 대학교 입학. Math55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둠.[13] MIT 인공지능 연구소(AI Lab) 프로그래머가 되어 해커 커뮤니티에 참여. |
1974년 |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최우등으로 졸업.[14] MIT 대학원에 진학했으나, AI 연구소 활동에 집중하며 박사 학위 과정을 중단. |
1983년 | GNU 프로젝트 창시. |
1984년 | GNU 프로젝트에 전념하기 위해 MIT 연구직 사임. |
1985년 | GNU 선언 발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설립. |
1990년 | 그레이스 호퍼 상 수상. |
1996년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1998년 | EFF 파이오니어 상 수상.[15] |
1999년 | 온라인 백과사전 프로젝트 GNUPedia 개발 제안. 유리 루빈스키 기념상 수상. |
2001년 | 다케다 상 수상. 글래스고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2002년 | 미국 공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2007년 | 파비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2009년 | 레이크헤드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2019년 | CSAIL 및 FSF 이사장직 사임.[16] |
2021년 | FSF 이사직 복귀.[17][18] |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리처드 스톨먼은 1953년 3월 16일, 뉴욕에서 앨리스 립먼과 대니얼 스톨먼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정은 유대인 유산을 가지고 있었으나, 스톨먼은 부모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고 스스로 제대로 된 가정을 갖지 못했다고 느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사춘기가 되기 전 여름 캠프에서 IBM 7094 매뉴얼을 읽기도 했다.1960년대 후반, 고등학교 저학년 시절 처음으로 컴퓨터를 접할 기회를 가졌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토요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록펠러 대학교 생물학과에서는 자원봉사 실험실 조교로 활동했다. 당시 그는 수학과 물리학에 더 관심이 있었지만, 지도 교수는 그에게 생물학자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스톨먼의 본격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경험은 고등학교 시절 IBM 뉴욕 과학 센터에서 시작되었다. 1970년 여름, 고등학교 졸업반이었던 그는 포트란으로 수치 해석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을 맡았다. 그는 몇 주 만에 작업을 마쳤지만, 포트란에 대해 "다른 언어와 비교했을 때 포트란을 싫어했기 때문에 다시는 포트란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고 회고했다. 남은 여름 동안 그는 APL로 텍스트 편집기를 개발하고, IBM 시스템/360용 PL/I 전처리기를 작성했다. 그는 첫 프로그램을 PL/I로 작성했으며, 프로그램 규모가 커지자 어셈블리어로 다시 작성하기도 했다.
1970년 가을, 스톨먼은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 55(Math 55) 과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그는 "평생 처음으로 하버드에서 내가 속한 곳을 찾았다"며 기뻐했다고 한다.
1971년, 하버드 대학교 1학년을 마칠 무렵 그는 MIT 인공지능 연구소(MIT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의 프로그래머가 되었고, 해커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다. 그는 컴퓨터 계정 사용자명으로 자신의 이니셜을 딴 'RMS'로 널리 알려졌다. 스톨먼은 197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우등(magna cum laude)으로 취득했다. 그는 하버드에 남는 대신 MIT 대학원에 진학하기로 결정했다. 1년 동안 물리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나, MIT AI 연구소에서의 프로그래밍 작업에 더 집중하기 위해 학업을 중단했다.
1975년부터 제럴드 제이 서스먼(Gerry Sussman) 교수의 지도 아래 MIT에서 연구 조교로 일하며, 1977년 서스먼과 함께 '종속성 기반 백트래킹'(dependency-directed backtracking)이라는 인공지능 진실 유지 시스템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제약 만족 문제(constraint satisfaction problem)에서 지능형 백트래킹(intelligent backtracking)에 대한 초기 연구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여기서 소개된 기법은 이후 오랫동안 가장 일반적이고 강력한 지능형 백트래킹 방식으로 여겨졌다. 또한 검색 결과를 재사용하기 위한 제약 학습(Constraint learning)/제약 기록(constraint recording) 기법도 이 논문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MIT AI 연구소의 해커로서 스톨먼은 비호환 시분할 시스템(ITS)을 위한 TECO 텍스트 편집기와 이맥스(Emacs)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리스프 머신 운영 체제(1974~1976년 CONS, 1977~1979년 CADR) 개발에도 기여했다. 그는 당시 연구소 내 컴퓨터 접근이 제한적인 것에 대해 비판적이었는데, 특히 DARPA의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환경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1977년 MIT 컴퓨터 과학 연구소(LCS)가 암호 시스템을 도입했을 때, 스톨먼은 암호를 해독하여 사용자들에게 알리고, 암호 없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빈 문자열로 암호를 변경하라고 제안했다. 약 20%의 사용자가 그의 제안을 따랐으나 결국 암호 시스템은 정착되었고, 스톨먼은 이 활동을 수년간 자랑스럽게 이야기했다.
2. 2. 하버드 대학교와 MIT
1970년 가을, 리처드 스톨만은 하버드 대학교 1학년으로 입학하여 수학 55(Math 55) 과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그는 "평생 처음으로 하버드에서 내가 속한 곳을 찾았다"며 기뻐했다고 전해진다.1971년, 하버드 1학년을 마칠 무렵 MIT 인공지능 연구소(AI Lab)의 프로그래머가 되었고, 해커 문화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다. 그는 컴퓨터 계정에서 일반적으로 'RMS'라는 약칭으로 알려졌다.
1974년 스톨만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우등(magna cum laude)으로 졸업했다. 그는 MIT 대학원에 진학하여 1년 동안 물리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나, MIT 인공지능 연구소에서의 프로그래밍에 집중하기 위해 학업을 중단했다.
MIT에서 연구 조교로 일하면서(1975년 시작), 스톨만은 제럴드 제이 서스먼 교수 지도하에 1977년 dependency-directed backtracking영어(종속성 기반 백트래킹)이라 불리는 인공지능(AI) 진실 유지 시스템(TMS)에 관한 논문을 서스만과 함께 발표했다. 이 논문은 제약 만족 문제에서의 지능형 백트래킹(intelligent backtracking)에 대한 초기 연구로 평가받는다. 또한, 검색의 부분 결과를 기록하여 재사용하는 제약 학습(Constraint learning) 기법도 이 논문에서 소개되었다.
MIT 인공지능 연구소의 해커로서 스톨만은 TECO(텍스트 편집기), Emacs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리스프 머신 운영 체제(1974~1979년 CONS 및 CADR) 개발에도 참여했다. 그는 당시 연구소 내 컴퓨터 접근이 제한적인 것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특히 1977년 MIT 컴퓨터 과학 연구소(LCS)가 암호 시스템을 설치했을 때 강하게 반대했다. 스톨만은 암호를 해독하는 방법을 찾아 사용자들에게 알리고, 익명 시스템 접근을 다시 활성화하기 위해 암호를 빈 문자열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 사용자의 약 20%가 그의 제안을 따랐지만, 결국 암호 시스템은 유지되었다.
2. 3. 해커 문화의 쇠퇴와 GNU 프로젝트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에 걸쳐 MIT의 해커 문화는 점차 변화를 맞이했다. 1977년, MIT 컴퓨터과학 연구소(CS연구소)가 암호(패스워드) 제도를 도입하여 기존의 자유로운 익명 접근을 제한하자, 스톨먼은 암호를 해독하여 사용자들에게 공백 암호로 변경하도록 권유하는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반대 운동을 펼쳤다. 비록 암호 제도를 완전히 되돌리지는 못했지만, 약 20%의 사용자가 그의 제안에 따라 암호를 변경했다.같은 시기,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공유하던 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저작권을 이용해 복제와 재배포를 제한하는 상업적인 관행이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스크라이브(Scribe)와 같은 소프트웨어는 라이선스 없는 접근을 막는 기능을 포함하기도 했는데, 스톨먼은 이러한 제약이 사용자의 자유를 침해하는 "인류에 대한 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20]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리스프 머신 개발을 둘러싸고 MIT 인공지능 연구소(AI Lab) 내부는 외부 투자를 거부한 LMI사와 투자를 유치한 심볼릭스사로 나뉘게 되었다. 두 회사 모두 독점 소프트웨어를 개발했지만, 스톨먼은 기존 해커 커뮤니티와 상대적으로 더 우호적이었던 LMI사를 지지했다. 특히 심볼릭스는 기존의 자유 소프트웨어를 가져가 독점 소프트웨어로 바꾸려는 시도를 적극적으로 펼쳤고, 이에 스톨먼은 1982년부터 1983년까지 심볼릭스가 만든 프로그램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혼자 힘으로 작성하여 그들의 독점을 막으려 노력했다. 이 시기 스톨먼은 자신을 "마지막 해커 세대"로 여겼으며, 비밀 유지 합의서 서명 요구와 정보 공유를 금지하는 작업 지시에 반발했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상업화로 인해 해커 공동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스톨먼은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1983년 9월, 그는 ARPANET 메일링 리스트와 USENET을 통해 GNU 운영 체제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운영 체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유닉스와 호환되면서도 완전히 자유로운 대안 운영 체제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GNU라는 이름은 "GNU's Not Unix"의 재귀적 약어이다.
1984년, 스톨먼은 GNU 프로젝트에 전념하기 위해 MIT 연구직을 사임했다. 이듬해인 1985년에는 GNU 선언문을 발표하여 자유 운영 체제 개발의 동기와 철학을 설명했으며, 자유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을 지원하고 법적인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비영리 기관인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을 설립했다. 스톨먼은 FSF의 무보수 회장직을 맡았다.
스톨먼은 자유 소프트웨어의 수정 및 재배포 권리를 보장하는 법적 장치인 카피레프트 개념을 대중화했다. 이 개념은 처음 GNU Emacs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에 적용되었고, 1989년에는 특정 프로그램에 국한되지 않는 범용적인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가 발표되었다. 이 무렵 텍스트 편집기(GNU Emacs), 컴파일러(GCC), 디버거(GNU 디버거), 빌드 도구(GNU make) 등 GNU 시스템의 핵심적인 부분들이 대부분 완성되었다. 다만 운영 체제의 핵심인 커널 개발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1990년 GNU 프로젝트는 카네기 멜론 대학의 Mach 마이크로커널을 기반으로 GNU 허드 커널 개발을 시작했지만, 완성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했다.
1991년, 핀란드의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가 GNU 개발 도구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고 이를 GPL로 공개했다. 이 커널이 기존의 GNU 시스템 구성 요소들과 결합하면서 마침내 완벽하게 작동하는 자유 운영 체제인 GNU/리눅스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후 이 운영 체제의 명칭을 둘러싸고 '리눅스'로 불러야 할지, 'GNU/리눅스'로 불러야 할지에 대한 GNU/리눅스 명명 논쟁이 오랫동안 이어졌다. 스톨먼과 FSF는 GNU 프로젝트의 기여와 자유 소프트웨어 철학을 강조하기 위해 'GNU/리눅스'라는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톨먼은 POSIX 표준과 GNU Emacs 편집기의 보급 등을 통해 해커 문화와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Emacs는 vi 편집기와 함께 편집기 전쟁으로 불리는 경쟁 구도를 형성하기도 했다. 스톨먼은 자신을 Emacs 교회의 성인화 IGNUcius로 칭하며 유머러스하게 이 상황에 대응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확고한 원칙과 타협하지 않는 태도는 때때로 갈등을 낳기도 했는데, 1992년에는 Emacs 개발 방향에 대한 이견으로 루시드사 개발자들이 XEmacs라는 별도의 버전으로 포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3. GNU 프로젝트
GNU 프로젝트는 리처드 스톨먼이 1983년 시작한 프로젝트로, 사용자의 자유를 보장하는 유닉스 호환 자유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85년, 스톨먼은 GNU 선언문을 발표하여 프로젝트의 목표와 동기를 설명하고, 같은 해 비영리 기관인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을 설립하여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지원했다.
프로젝트의 핵심 철학인 카피레프트 개념은 1989년 발표된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를 통해 구체화되어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법적으로 보호하는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GNU 프로젝트를 통해 GCC, 이맥스, GDB 등 운영 체제의 핵심 구성 요소 대부분이 개발되었으나, 허드(Hurd) 커널 개발은 상대적으로 더뎠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리눅스 커널을 GPL로 공개하면서, 이미 개발된 GNU 시스템 구성 요소들과 결합하여 완전한 기능을 갖춘 자유 운영 체제인 GNU/리눅스가 탄생하게 되었다. 스톨먼은 소프트웨어 개발 외에도 1990년대 초부터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활동가로서 강연과 저술을 통해 소프트웨어 자유의 중요성을 알리고, 소프트웨어 특허, 디지털 저작권 관리 등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활동을 지속했다.
3. 1. GNU 프로젝트 창립
1983년 9월, 스톨먼은 ARPANET(아르파넷) 상의 여러 메일링 리스트와 USENET(유즈넷)에 GNU 운영 체제 계획의 개요를 공표했다. 이는 유닉스에 대항하는 자유로운 운영 체제를 만들겠다는 구상의 시작이었다.1985년에는 GNU 선언문을 발표하여, "GNU"라는 이름의 유닉스 호환 자유 운영 체제 개발을 공식적으로 제창하고 그 동기를 설명했다. 같은 해 10월, 그는 비영리 기관인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 FSF)을 설립하여 GNU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이끌었다.
이후 1989년에는 프로그래밍 자유 연맹(League for Programming Freedom)을 공동으로 설립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권익 보호에도 힘썼다.
3. 2. 주요 성과
리처드 스톨먼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핵심 인물로서 다양한 성과를 남겼다.1983년 9월, 그는 아르파넷 메일링 리스트와 유즈넷을 통해 GNU 운영 체제 계획을 처음으로 공표했다. 이어서 1985년에는 GNU 선언문을 발표하여, 유닉스에 대항하는 자유로운 운영 체제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를 공식화했다. 같은 해 10월, 그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이라는 비영리 기관을 설립하여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구심점을 마련했다.
GNU 프로젝트는 여러 중요한 소프트웨어 개발로 이어졌다. 스톨먼 자신이 직접 개발에 참여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이맥스 편집기, GCC 컴파일러, GDB 디버거, gmake 빌드 자동화 도구 등이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자유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핵심 기반을 이루었다.
또한 스톨먼은 소프트웨어의 수정 및 재배포 권리를 법적으로 보장하는 카피레프트 개념을 대중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개념은 GNU Emacs의 라이선스에 처음 적용되었고, 1989년에는 모든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적용할 수 있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를 직접 작성하여 발표했다.
1990년대 초까지 허드(Hurd) 커널 개발은 지연되었지만, 그 외 대부분의 GNU 시스템 구성 요소는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자신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을 GPL 하에 공개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완성된 GNU 시스템 구성 요소와 리눅스 커널이 결합하여 완전한 기능을 갖춘 GNU/리눅스 운영 체제가 탄생하게 되었다.

스톨먼은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자유 소프트웨어의 철학을 전파하는 데에도 힘썼다. 1990년대 초부터 그는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적극적인 활동가로서 "GNU 프로젝트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소프트웨어 특허의 위험", "컴퓨터 네트워크 시대의 저작권과 공동체" 등의 주제로 꾸준히 강연 활동을 펼쳤다. 2006년과 2007년에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3판 초안 작성을 위한 공개 협의 기간 동안 변경 사항을 설명하는 강연을 추가하기도 했다.
1999년에는 누구나 자유롭게 기여할 수 있는 온라인 백과사전 개발을 제안했으며, 이는 GNU백과사전 프로젝트로 이어졌다. 비록 위키백과의 성공으로 인해 주류가 되지는 못했지만, 자유로운 지식 공유라는 중요한 가치를 제시했다.
그의 활동은 국제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2006년 8월 인도 케랄라 주 정부와의 회의에서는 주립 학교에서 독점 소프트웨어 사용을 중단하고 자유 소프트웨어 운영 체제로 전환하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12,500개 고등학교의 컴퓨터 시스템 전환이라는 중요한 결정으로 이어졌다. 또한 인도의 A. P. J. 압둘 칼람 대통령, 프랑스의 세골렌 루아얄 대선 후보, 에콰도르의 라파엘 코레아 대통령 등 각국 지도자들과 만나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지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스톨먼은 소프트웨어 특허,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독점 소프트웨어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비판하며 관련 시위에도 참여했다. 2006년에는 ATI의 독점 드라이버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그는 아마존 킨들과 같은 전자책 리더가 사용자의 자유를 제약하는 방식(복사 방지, 원격 삭제 등)에 대해 비판하며, 암호화된 DVD나 블루레이 사용도 권장하지 않는다.
그는 '자유 소프트웨어'라는 용어 사용을 강력히 주장하며, 기술적 측면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라는 용어 사용을 거부한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핵심 가치인 '자유'를 강조하기 위함이다. 대신 그는 '프로프라이어터리 소프트웨어' 또는 '비자유 소프트웨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스톨먼의 이러한 활동과 기여는 여러 상과 명예 학위를 통해 인정받았다.
연도 | 내용 |
---|---|
1990년 | 그레이스 호퍼 상 수상 |
1996년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1998년 | EFF 파이오니어 상 수상[15] |
1999년 | 유리 루빈스키 기념상 수상 |
2001년 | 다케다 상 수상 |
2001년 | 글래스고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2002년 | 미국 공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
2007년 | 파비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2009년 | 레이크헤드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3. 3. 논쟁
GNU 프로젝트는 특히 이념적인 측면에서 여러 논쟁을 불러일으킨 프로젝트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1992년경에는 GNU Emacs를 둘러싸고 Lucid사 개발자와의 대립이 표면화되어 결과적으로 XEmacs의 분기(派生)를 초래했다. 또한, 1991년 리누스 토발즈가 GNU의 개발 도구를 채택한 이후, GNU 프로그램은 리눅스에 이식되어 널리 사용되었지만,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GNU/리눅스라는 이름을 둘러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여기서 프로젝트의 이념적인 측면을 중시하여 GNU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강력하게 주장한 사람은 다름 아닌 스톨먼이었다.스톨먼은 GNU 시스템과 리눅스 커널을 결합하여 만든 운영 체제를 지칭하는 데 ''GNU/Linux''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톨먼은 이 운영 체제를 "GNU의 변형이며, GNU 프로젝트가 주요 개발자"라고 말한다. 그는 사람들이 이 조합을 단순히 리눅스라고 부를 때 GNU 프로젝트의 철학과 소프트웨어 간의 연결이 끊어진다고 주장한다. 2003년경부터 그는 다른 사람들이 ''GNU/Linux''라는 구절을 잘못 발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GNU+Linux''라는 용어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리눅스의 창시자인 리누스 토르발스는 공개적으로 이름 변경에 반대했다.
이 스톨먼의 강한 이념성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저널리스트 앤드류 레오나르도는 스톨먼의 "결코 타협하지 않는 고집"을 재능 있는 유능한 프로그래머에게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특징이라고 한다.[21]
스톨먼의 타협하지 않는 자세에는, 어딘가 안심시켜 주는 것이 있다. 이기든 지든, 스톨먼은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그는 죽을 때까지 농장에서 가장 고집 센 당나귀로 남을 것이다. 이것을 "결의가 굳다"라고 할지, 아니면 "단지 고집 센 것뿐"이라고 할지, 그의 헌신적인 자세와 엄격할 정도의 성실함은, 요령 좋은 말만 하는 홍보 담당자나 수억 엔을 들인 마케팅이 횡행하는 세상에서 한 잔의 청량제와 같은 것이다.
— 앤드류 레오나르도, Salon.com
4.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1985년, 스톨먼은 GNU 선언문을 발표하여 유닉스에 대항하는 자유로운 대안 운영체제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같은 해 비영리 기관인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을 설립했다.
1989년에는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PL)를 통해 카피레프트 개념을 도입하여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법적으로 보장하고자 했다. GNU 프로젝트는 허드(Hurd) 커널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스템 구성 요소를 개발했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GPL에 따라 리눅스 커널을 공개하면서, 완전한 기능을 갖춘 자유 운영체제인 GNU/리눅스가 탄생할 수 있었다.
스톨먼의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동기는 그를 논쟁적인 인물로 만들었다. 코드 공유라는 개념에는 동의하지만 그의 도덕주의적인 입장과 개인적인 철학에는 동의하지 않는 프로그래머들도 많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진 오픈 소스 운동이 등장하기도 했다.
스톨먼은 줄리언 어산지와 에드워드 스노든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으며, 여러 차례 정부와 기업의 감시 활동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왔다. 그는 자신의 신념에 따라 휴대전화를 "휴대용 감시 및 추적 장치"라고 부르며 소유하지 않고, 개인의 동선이 추적될 수 있다는 이유로 사무실 출입을 위한 키 카드 사용도 피한다. 웹 브라우징 시에도 직접 접속하는 대신 이메일 기반 프록시를 사용하거나, Tor를 통해 접속하는 등 개인 정보 보호와 자유 소프트웨어 원칙을 일상에서 실천하려 노력한다.
4. 1. 주요 활동
스톨만은 소프트웨어 자유에 관한 많은 글을 썼으며, 1990년대 초부터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활동가로서 적극적으로 활동해 왔다.[22] 그의 주요 강연 주제는 "GNU 프로젝트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소프트웨어 특허의 위험성", "컴퓨터 네트워크 시대의 저작권과 커뮤니티" 등이다.그는 국제적으로도 활발히 활동했다. 2004년에는 베네수엘라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채택을 촉구하는 강연을 했고, 당시 대통령이었던 우고 차베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23][24] 또한 2006년에는 인도 케랄라 주 정부와 협력하여 1만여 개 고등학교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GNU/리눅스로 전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25]
기업의 독점적인 소프트웨어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왔다. 2006년 4월, 스톨만은 ATI 테크놀로지스의 컴파일러 설계자 초청 강연장에서 "ATI 제품을 사지 마세요. 자유의 적입니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항의하여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26] 이후 ATI를 인수한 AMD(Advanced Micro Devices)는 해당 회사의 하드웨어 관련 문서와 드라이버를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가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조치를 취했다.[27]
스티브 잡스가 이끌었던 애플의 폐쇄적인 플랫폼에 대해서는 "컴퓨팅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비판했다.[28]
1999년에는 누구나 자유롭게 편집하고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백과사전 프로젝트인 GNUPedia영어(GNE) 개발을 제안하기도 했다.
4. 2. 정치 활동
스톨만은 소프트웨어 자유에 관한 많은 수필을 집필했으며, 1990년대 초부터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정치 활동가로서 적극적으로 활동해 왔다.[22] 그의 정기적인 강연 주제는 "GNU 프로젝트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소프트웨어 특허의 위험성", "컴퓨터 네트워크 시대의 저작권과 커뮤니티" 등이다.2004년, 스톨만은 베네수엘라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채택을 촉구하는 강연을 했으며, 당시 대통령 우고 차베스로부터 호의적인 반응을 얻었다.[23][24] 또한 2006년에는 인도 케랄라 주 정부와 협상을 통해 1만여 개의 고등학교 컴퓨터 운영체제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GNU/리눅스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25]
2006년 4월, 스톨만은 ATI 테크놀로지스 컴파일러 설계자 초청 강연에서 "ATI 제품을 사지 마세요. 자유의 적입니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독점 소프트웨어에 항의하여 경찰이 출동하는 사태가 발생했다.[26] AMD는 이후 ATI를 인수하고, 해당 회사의 하드웨어 문서 및 드라이버를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가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여 성과를 거두었다.[27]
스티브 잡스의 애플의 폐쇄적인 플랫폼에 대해서는 "컴퓨팅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비판했다.[28]
5. 주요 입장
리처드 스톨먼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핵심 인물로서, 소프트웨어 사용자의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는 확고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그는 1983년 GNU 프로젝트를 창시하고[12] 1985년에는 GNU 선언을 발표하며 이러한 철학을 구체화했다. 이는 소프트웨어가 특정 기업이나 개인에 의해 독점되어 사용자의 권리를 제한하는 것에 반대하는 그의 신념을 보여준다.
스톨먼의 이러한 활동은 학계와 기술 커뮤니티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그의 공로는 다양한 상을 통해 인정받았다. 대표적으로 그레이스 호퍼 상(1990), EFF 파이오니어 상(1998)[15], 다케다 상(2001) 등이 있으며,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1996), 글래스고 대학교(2001) 등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4] 그는 FSF의 이사장직을 맡아 활동하다 2019년 사임했으나[16], 2021년 다시 이사직에 복귀하여[17][18]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5. 1. 저작권 축소
(내용 없음 - 제공된 'source' 자료에는 해당 섹션 제목 '저작권 축소'와 관련된 내용이 없습니다.)5. 2. 감시 저항
스톨먼은 줄리언 어산지와 에드워드 스노든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그는 여러 차례 정부와 기업의 감시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혀왔다.그는 휴대전화를 "휴대용 감시 및 추적 장치"라고 부르며, 전적으로 자유 소프트웨어로 구동되는 휴대전화가 없다는 이유로 휴대전화를 소유하지 않는다. 또한 사무실 건물 출입을 위한 키 카드 사용도 피하는데, 이는 키 카드 시스템이 사용자의 건물 출입 위치와 시간을 추적하기 때문이다.
스톨먼은 보통 개인용 컴퓨터로 웹을 직접 탐색하지 않고, 대신 GNU Womb의 grab-url-from-mail 유틸리티를 사용한다. 이는 웹페이지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이메일로 보내주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위키백과 편집(일반적으로 사용자가 IP 차단 예외 권한이 없는 한 Tor에서의 편집을 허용하지 않음)을 제외하고는, Tor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근한다고 밝혔다.
5. 3. 용어
리처드 스톨먼의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동기는 그를 논쟁적인 인물로 만들었다. 코드를 공유하자는 개념에는 동의하지만 스톨먼의 도덕주의적인 입장과 개인적인 철학에는 동의하지 않는 프로그래머들도 많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대안으로 오픈 소스 운동이 생겨났다.스톨먼은 '자유 소프트웨어'라는 용어 사용을 강력히 주장하며, '오픈 소스'라는 용어 사용은 거부한다. 이는 그가 소프트웨어 개발과 사용에 있어 기술적인 측면보다 사용자의 '자유'라는 철학적, 윤리적 가치를 훨씬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오픈 소스 운동이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과 달리, 스톨먼과 FSF는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자유를 구속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핵심 원칙으로 삼는다. 그는 GNU 프로젝트를 창시하고 GNU 선언을 발표하는 등, 소프트웨어 사용자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활동을 꾸준히 이어왔다.
6. 제프리 엡스타인 사건
2019년 9월, 제프리 엡스타인이 MIT에 기부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MIT 미디어 랩 소장 조이 이토가 사임했다. 이 사건은 CSAIL 내부 메일링 리스트에서 MIT와 엡스타인의 관계를 둘러싼 논의로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스톨먼은 엡스타인의 성범죄 피해자 중 한 명과 관련된 고 마빈 민스키 교수에 대한 발언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3] 스톨먼은 민스키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과 함께, 성폭력 피해 사실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듯한 주장을 펼쳐 비판을 받았다.
이 논란은 스톨먼이 과거 미성년자와의 성관계나 아동 포르노 관련 법에 대해 옹호하는 듯한 글을 썼던 사실이 재조명되면서 더욱 확산되었다.[4] 거센 비판 여론 속에서 스톨먼은 자신의 과거 입장에 대해 생각이 바뀌었다고 해명했지만,[5][6][7] 결국 2019년 9월 16일, "일련의 오해와 잘못된 묘사"로 인한 압박감을 이유로 MIT 방문과학자직과 FSF 이사장직에서 사임했다. 스톨먼은 자신의 발언이 엡스타인을 옹호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해명하며 오해로 상처받은 이들에게 유감을 표했다.
이후 2021년 3월, 스톨먼은 리브레플래닛 2021 행사에서 FSF 이사회 복귀를 발표했으나, 이는 다시 한번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여러 오픈소스 관련 단체와 개발자들이 스톨먼과 FSF 이사회의 사퇴를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발표하는 등 강력히 반발했으며, 일부 주요 기업 및 단체들은 FSF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거나 관계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FSF 이사회는 스톨먼의 복귀 결정을 유지했으며, 스톨먼 자신도 자신의 부족한 사회성에 대해 사과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6. 1. 사건 관련 발언과 논란
2019년 9월, 억만장자 성범죄자인 제프리 엡스타인이 MIT에 기부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MIT 미디어 랩 소장 조이 이토가 사임했다. 이 사건은 CSAIL 내부 메일링 리스트에서 MIT와 엡스타인의 관계를 은폐하려는 시도에 대한 항의로 이어졌다.이 과정에서 버지니아 주프레가 엡스타인에게 성관계를 강요당했다고 지목한 인물 중 한 명인 고인이 된 MIT 교수 마빈 민스키에 대한 논의가 불거졌다.[3] 당시 미성년자였던 주프레는 엡스타인의 미성년자 성매매 조직의 피해자였다. 메일링 리스트에서 민스키가 "엡스타인의 피해자 중 한 명을 폭행(assault)한 혐의를 받고 있다"는 댓글이 달리자, 스톨먼은 이것이 부정확하다며 반박했다. 그는 민스키가 '폭행' 혐의로 기소된 적이 없으며, 피해자의 증언만으로는 민스키가 실제로 폭행을 저질렀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스톨먼은 "가장 그럴듯한 시나리오는 그녀(주프레)가 민스키에게 완전히 자발적으로 자신을 내보였다는 것"이라며, "설령 그녀가 엡스타인에게 강요당했다고 하더라도, 민스키는 그 사실을 대부분의 동료들에게 숨길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메일링 리스트의 다른 회원들이 반발하자, 스톨먼은 '강간(rape)'이라는 용어를 "어떤 나라였는지" 또는 피해자가 "18세였는지 17세였는지"와 같은 사소한 세부 사항에 따라 정의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터무니없으며, 피해자에게 가해진 실제 피해와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스톨먼은 엡스타인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우리는 주프레가 엡스타인에 의해 성관계를 강요당했고, 그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셀람 가노는 스톨먼의 발언과 과거 행적을 정리하여 미디엄에 게시하며 그의 MIT 해임을 촉구했다. 바이스(Vice)는 2019년 9월 13일 해당 이메일 내용을 공개했고, 이전에 스톨먼이 미성년자와의 성관계 및 아동 포르노 법에 관해 쓴 글들이 다시 주목받으며 논란은 더욱 커졌다. 특히 2006년 9월 스톨먼은 "자발적인 소아성애가 아이들에게 해를 끼친다는 주장에 대해 회의적이다. 그것이 해를 끼친다는 주장은 자발적이지 않은 사례를 바탕으로 하는 것 같고, 그런 다음 아기가 성숙해진다는 생각에 끔찍해하는 부모들에 의해 과장된다"고 쓴 바 있다.[4] 민스키 관련 발언과 과거 글들로 인해 스톨먼의 사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논란이 확산되자 스톨먼은 2019년 9월 14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입장을 발표했다. 그는 과거 글을 쓸 당시에는 미성년자와의 성관계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지만, "최근 몇 년간 개인적인 대화를 통해 아이와의 성관계가 심리적으로 어떻게 해를 끼칠 수 있는지 이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각이 바뀌었으며, 성인이 그런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해명했다.[5][6][7]
결국 2019년 9월 16일, 스톨먼은 "일련의 오해와 잘못된 묘사로 인해 MIT와 나에게 가해진 압력 때문에" MIT 방문과학자직과 FSF 이사장직에서 사임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자신의 웹사이트에 올린 글에서 메일링 리스트 발언이 엡스타인을 옹호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나는 그를 '연쇄 강간범'이라고 부르고 감옥에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내가 그를 옹호했다고 믿고 있으며, 내가 한 말이라고 믿는 것 때문에 진정한 상처를 느낀다. 그 상처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오해를 막을 수 있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후 2021년에는 "엡스타인이 여성들에게 가한 불의나 그로 인한 고통을 맥락 속에서 인식하지 못했다"며 자신의 무심함에 대해 사과했다.
6. 2. FSF 복귀와 논란
2021년 3월, 리브레플래닛 2021에서 스톨먼은 FSF 이사회 복귀를 발표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깃허브에 스톨먼과 FSF 이사회 전체의 해임을 요구하는 공개 서한이 GNOME과 모질라를 포함한 저명한 오픈소스 단체들의 지지와 함께 게시되었다. 이 서한에는 스톨먼에 대한 일련의 비난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해 스톨먼의 발언이 잘못 해석되고 오해되었으며 맥락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FSF가 스톨먼을 유지해야 한다는 공개 서한도 게시되었다.2021년 4월 12일 FSF 이사회는 리처드 스톨먼을 복귀시키기로 한 결정을 재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그 후 스톨먼은 자신의 부족한 사회성을 설명하고 사과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스톨먼의 복귀 결정 이후, 레드햇, 자유소프트웨어재단 유럽, 소프트웨어 자유 보존 협회, 수세, OSI, 더 다큐먼트 재단, EFF, 그리고 토르 프로젝트를 포함한 여러 단체들이 FSF를 비판하고, 자금 지원을 중단하거나 관계를 끊었다. 데비안은 이 문제에 대한 커뮤니티 투표 후 성명 발표를 거부했다. 그러나 FSF는 최근 회계연도에 기업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재정적 지원이 수입의 3% 미만이었다고 밝히며, 재정적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주장했다.
7. 인물
리처드 스톨먼은 1953년 3월 16일 뉴욕시에서 유대인 혈통을 가진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모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다고 회고했다.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여름 캠프에서 IBM 7094 매뉴얼을 읽기도 했다. 고등학생 시절에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토요 프로그램에 참여했고(1967-1969), 록펠러 대학교 생물학과에서 자원봉사 조교로 활동했다. 수학과 물리학에도 관심이 있었으나, 지도 교수는 그에게 생물학자로서의 가능성을 보았다.
컴퓨터 프로그래밍과의 첫 만남은 고등학교 시절 IBM 뉴욕 과학 센터에서 이루어졌다. 1970년 여름, 그는 포트란으로 수치 해석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을 맡았으나, 몇 주 만에 완료하고 포트란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갖게 되었다. 남은 여름 동안에는 APL로 텍스트 편집기를 개발하고 IBM 시스템/360에서 PL/I 전처리기를 작성했다.
1970년 가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 55 과목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학문적 성취감을 느꼈다. 1학년을 마친 1971년, MIT 인공지능 연구소에서 프로그래머가 되어 해커 커뮤니티의 일원이 되었고, 'RMS'라는 약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7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사 학위를 우등으로 졸업(magna cum laude)했다. 이후 MIT 대학원에 진학하여 물리학 박사 과정을 시작했으나, AI 연구소에서의 프로그래밍 작업에 더 집중하기 위해 학업을 중단했다.
1975년부터 MIT에서 제럴드 제이 서스만 교수 지도하에 연구 조교로 일하며, 1977년에는 서스만과 함께 '종속성 기반 백트래킹'이라는 인공지능의 진실 유지 시스템에 관한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제약 만족 문제에서의 지능형 백트래킹 연구의 초석이 되었으며, 여기서 소개된 기법들은 이후 오랫동안 해당 분야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검색 결과를 재사용하기 위한 제약 학습/기록 기법도 이 논문에서 처음 제시되었다.
MIT AI 연구소의 해커로서 스톨먼은 비호환 시분할 시스템(ITS) 환경에서 TECO 편집기와 Emacs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했으며, Lisp 머신 운영 체제 개발(CONS, CADR)에도 기여했다. 그는 당시 연구소 컴퓨터 자원에 대한 접근 제한, 특히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의 자금 지원과 관련된 제한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1977년 MIT 컴퓨터 과학 연구소가 암호 시스템을 도입했을 때, 스톨먼은 암호를 해독하고 사용자들에게 암호 없이 시스템에 접근할 것을 권장하는 등 시스템 개방성을 지키기 위한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연도 | 주요 활동 및 사건 |
---|---|
1953년 | 뉴욕시에서 출생.[12] |
1971년 | 하버드 대학교 입학, MIT 인공지능 연구소 프로그래머 활동 시작.[13] |
1974년 |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학사 학위 취득 (우등 졸업).[14] MIT 대학원 진학 후 중퇴. |
1983년 | GNU 프로젝트 창시. |
1984년 | GNU 프로젝트 전념 위해 MIT 퇴직. |
1985년 | GNU 선언 발표. |
1990년 | 그레이스 호퍼 상 수상. |
1996년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1998년 | 전자 프런티어 재단 파이오니어 상 수상.[15] |
1999년 | 온라인 백과사전 프로젝트 GNUPedia 제안. 유리 루빈스키 기념상 수상. |
2001년 | 다케다 상 수상. 글래스고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2002년 | 미국 공학한림원 회원 선출. |
2007년 | 파비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2009년 | 레이크헤드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수여. |
2019년 | CSAIL 및 FSF 이사장직 사임.[16] |
2021년 | FSF 이사직 복귀.[17][18] |
7. 1. 사생활
스톨먼은 여러 해 동안 케임브리지에 거주했으며, 현재는 보스턴에 살고 있다. 그는 영어 외에도 프랑스어와 스페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며, 약간의 인도네시아어도 구사할 수 있다.[48] 그는 자신을 유대인 혈통을 가진 무신론자라고 설명하며, "신을 탄핵하라(Impeach God)"는 문구가 적힌 배지를 자주 착용한다.그는 검소한 생활 방식으로 유명하다. MIT에서 무보수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CSAIL에 사무실을 두고 있지만 정착을 위한 집은 소유하지 않고 있다. 그는 이러한 삶에 대해 "나는 항상 검소하게, 학생처럼 살아왔다. 돈에 좌우될 필요가 없는 그런 삶이 좋다"고 말한 바 있다.[41]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어, 추적당할 위험 때문에 휴대 전화 사용을 권장하지 않으며,[42][43] 출입 기록이 남는다는 이유로 사무실 건물의 카드키 사용도 피한다.[44] 웹 브라우징 역시 "개인적인 이유"로 자신의 컴퓨터에서 직접 하지 않고, GNU나 FSF 관련 페이지를 제외하면 wget을 이용해 서버에 이메일로 요청하여 페이지 내용을 받아보는 방식을 사용한다.[45][46]
키보드는 해피 해킹 키보드를 애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
스톨먼은 자신이 아스퍼거 증후군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부인하지만, 때때로 자신이 그 증후군의 "그림자" 버전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자발적으로 자녀를 갖지 않기로 선택했다. 또한 필크 음악과 패러디 곡을 모은 노래책을 출판하기도 했다.
2023년 9월, 스톨먼은 여포성 림프종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으나 예후가 좋다고 덧붙였다.[8][9][10] 이후 그는 완치되었다고 발표했다.[11]
7. 2. 취미
스톨만은 콘론 낸카로우[49]부터 포크 음악[50]까지 폭넓은 음악을 좋아한다. 베라 플렉 앤드 더 플렉토운스와 위어드 알 얀코빅도 좋아한다.[51]작곡 활동도 하여, 불가리아의 포크댄스 음악인 "사디 모마"를 개사하여 자유 소프트웨어의 노래를 만들었다. 또한 쿠바의 포크송 "구안타나메라"를 바탕으로 관타나모 미군 기지 수감자들에 관한 노래를 만들어 쿠바 현지 음악가들과 녹음하기도 했다.[52]
SF 팬으로, 특히 그렉 이건의 작품을 좋아한다. 직접 SF 단편 소설인 "The Right to Read"와 "Jinnetic Engineering"을 쓰기도 했다.
스톨만은 12월 25일을 크리스마스 대신 'Grav-mass'로 기념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아이작 뉴턴이 율리우스력으로 12월 25일에 태어난 것을 기념하자는 의미이다.
7. 3. 정치
스톨만은 존경하는 인물로 마하트마 간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넬슨 만델라, 아웅산 수치, 랄프 네이더, 데니스 쿠시니치 등을 언급했다. 또한 프랭클린 D. 루즈벨트나 윈스턴 처칠에 대해서도 존경심을 표하면서도, 그들의 일부 행동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스톨만은 녹색당의 지지자이며, 국민투표를 통한 입법 제도를 목표로 하는 내셔널 이니셔티브 운동을 지지한다.[54]또한 스톨만은 전자투표에 반대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2008년 3월 1일 맨체스터 강연에서는 투표용지 사본이 있으면 재집계가 더 쉽다는 이유를 들어 종이 투표를 옹호했다.[55]
8. 수상 경력
스톨먼은 그의 작업들로 인해 다음과 같이 수많은 상을 수상했다.
연도 | 수상 내역 | 비고 |
---|---|---|
1986 | 찰머스 공과대학교 컴퓨터 학회 명예 평생 회원 | |
1990 | 맥아더 펠로우십 ("천재상") | |
ACM 그레이스 머레이 호퍼상 | "확장 가능한 편집기 Emacs 개발에 대한 선구적인 업적" | |
1996 |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1998 | 전자 프런티어 재단 파이오니어 상 | |
1999 | 유리 루빈스키 기념상 | |
2001 | 다케다 테크노 창업상 (武田研究奨励賞|다케다 연구 장려상일본어) | 사회/경제적 안녕 부문 |
글래스고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2002 | 미국 공학한림원 회원 | "GNU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영향력 있는 비독점 소프트웨어 도구를 개발하고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설립한 공로" |
2003 | 브뤼셀 자유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2004 | 살타 국립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페루 공과대학교 명예 교수 | ||
2007 | 인카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 대학교 명예 교수 | |
제1회 엑스트레마두라 국제 자유 지식상 | ||
침보테 로스앤젤레스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파비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2008 | 페루 트루히요 국립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2009 | 레이크헤드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2011 | 코르도바 국립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2012 | 페루 트루히요 세사르 바예호 대학교 명예 교수 | |
페루 타크나 라틴 아메리카 시마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페루 호세 파우스티노 산체스 카리온 국립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2014 | 콩코르디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몬트리올 소재 |
2015 | ACM 소프트웨어 시스템 상 | "GCC 개발 및 리더십 공로" |
2016 | 피에르 마리 퀴리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
GNU 솔리다리오 사회 의학상 |
9. 저술
'''매뉴얼'''
- 스톨먼, 리처드 M. (1980). ''EMACS: 확장 가능하고 사용자 정의 가능하며 자체 문서화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편집기''.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MIT 인공지능 연구소 간행물 (AIM-519A).
- 스톨먼, 리처드 M. (2002). ''GNU Emacs 매뉴얼''.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GNU Press. ISBN 1-882114-85-X. [https://www.gnu.org/software/emacs/manual/ 온라인 버전]
- 스톨먼, 리처드 M.; 맥그래스, 롤랜드; 스미스, 폴 D. (2004). ''GNU Make: 지시형 컴파일 프로그램''.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GNU Press. ISBN 1-882114-83-3. [https://www.gnu.org/software/make/manual/ 온라인 버전]
- 스톨먼, 리처드 (2023). ''GNU C 언어 소개 및 참조 매뉴얼'' GNU C Language Introduction and Reference Manual영어. GNU.
'''선정된 에세이'''
- 스톨먼, 리처드 M. (2015). ''자유 소프트웨어, 자유 사회: 리처드 M. 스톨먼의 선정된 에세이'' (세 번째 판).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GNU Press. ISBN 978-0-9831592-5-4.
참조
[1]
뉴스
Computer scientist Richard Stallman resigns from MIT after comments about Epstein scandal
https://www.washingt[...]
2024-07-07
[2]
웹사이트
FINNCON/BALTCON
https://www.dcs.gla.[...]
2024-08-25
[3]
웹사이트
AI pioneer accused of having sex with trafficking victim on Jeffrey Epstein's island
https://www.theverge[...]
2019-08-09
[4]
웹사이트
Free Software Pioneer Quits MIT Over His Comments On Epstein Sex Trafficking Case
https://www.npr.org/[...]
[5]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returns to FSF 18 months after controversial rape comments
https://arstechnica.[...]
2022-12-03
[6]
웹사이트
2006: May – August Political Notes – Richard Stallman
https://stallman.org[...]
2022-12-03
[7]
웹사이트
Political Notes
https://stallman.org[...]
2023-05-20
[8]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is Battling Cancer 😔
https://news.itsfoss[...]
2023-09-30
[9]
웹사이트
Free software pioneer Stallman reveals cancer diagnosis
https://www.theregis[...]
2023-09-30
[10]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s Personal Page
https://stallman.org[...]
2023-12-26
[11]
웹사이트
https://stallman.org[...]
[12]
서적
Free as in Freedom
[13]
서적
Free as in Freedom: Richard Stallman's Crusade for Free Software
O'Reilly
[14]
웹사이트
http://www.stallman.[...]
[15]
웹사이트
Past Pioneer Award Winners
https://www.eff.org/[...]
[16]
웹사이트
Computer scientist Richard Stallman resigns from MIT after defending Jeffrey Epstein
https://www.cnet.com[...]
2019-09-17
[17]
웹사이트
リチャード・ストールマン氏が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の理事に復帰
https://japan.zdnet.[...]
2021-03-30
[18]
웹사이트
たった一通のメールで代表辞任に追い込まれたリチャード・ストールマンがフリーソフトウェア財団に復帰
https://gigazine.net[...]
2021-03-30
[19]
논문
Forward Reasoning and Dependency-Directed Backtracking In a System for Computer-Aided Circuit analysis
http://citeseer.ist.[...]
Artificial Intelligence 9
2011-04-11
[20]
서적
Free as in Freedom: Richard Stallman's Crusade for Free Software
O'Reilly Media
[21]
웹사이트
Code free or die
http://dir.salon.com[...]
2011-04-13
[22]
서적
The Wikipedia revolution : how a bunch of nobodies created the world's greatest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New York : Hyperion
2009
[23]
웹사이트
[24]
웹사이트
Chavez threatens dignitaries
http://www.stallman.[...]
2011-04-23
[25]
웹사이트
Kerala logs Microsoft out
http://www.financial[...]
The Financial Express
2011-04-23
[26]
웹사이트
Protest against ATI nearly led to the arrest of RMS — Free Software Foundation — Working together for free software
https://www.fsf.org/[...]
2024-09-18
[27]
웹사이트
AMD、オープンソースのグラフィックスドライバの開発を支援へ
https://japan.cnet.c[...]
2024-09-18
[28]
웹사이트
Stallman: Jobs exerted 'malign influence' on computing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2024-09-19
[29]
웹사이트
How I do my Computing
https://stallman.org[...]
2024-09-18
[30]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Richard Stallman
http://richard.stall[...]
Uses This
2024-09-19
[31]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has his bag stolen in Argentina
http://www.devthough[...]
Devthought.com
2024-09-19
[32]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leaves MIT after controversial remarks on rape
https://arstechnica.[...]
2024-09-19
[33]
뉴스
Richard Stallman and the Fall of the Clueless Nerd
https://www.wired.co[...]
2024-09-19
[34]
웹사이트
Explaining the Events that Led to Richard Stallman's Resignation Part II - CSAIL Emails Stallman Support
https://stallmansupp[...]
2024-09-19
[35]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returns to FSF 18 months after controversial rape comments
https://arstechnica.[...]
2024-09-19
[36]
웹사이트
Free software advocates seek removal of Richard Stallman and entire FSF board
https://arstechnica.[...]
2021-03-23
[37]
웹사이트
An open letter in support of Richard M. Stallman
https://rms-support-[...]
[38]
웹사이트
Statement of FSF board on election of Richard Stallman — Free Software Foundation — Working together for free software
https://www.fsf.org/[...]
[39]
웹사이트
Statements by other organizations on the reappointment of RMS to the FSF board
https://rms-open-let[...]
[40]
웹사이트
What is the financial status of FSF?
https://www.fsf.org/[...]
The Free Software Foundation
[41]
웹사이트
Transcript of Richard M. Stallman’s speech
http://www.gnu.org/e[...]
Free Software Foundation
2001-05-29
[42]
웹사이트
A Rare Glimpse Into Richard Stallman's World
http://www.accessdat[...]
[43]
웹사이트
Transcript of Richard Stallman at the 3rd international GPLv3 conference; 22nd June 2006
http://www.fsfeurope[...]
[44]
웹사이트
The Shaggy God
http://www.bostonmag[...]
[45]
웹사이트
Real men don't attack straw men
http://thread.gmane.[...]
OpenBSD 'misc' Mailing List
2007-12-15
[46]
웹사이트
How I do my computing
http://stallman.org/[...]
[47]
웹사이트
「HHKB 20周年記念ユーザーミートアップ」イベントレポート
https://akiba-pc.wat[...]
AKIBA PC Hotline!
2017-10-02
[48]
웹사이트
http://mail.gnome.or[...]
[49]
웹사이트
Bruce Sterling interview
http://slashdot.org/[...]
[50]
웹사이트
Humorous bio
http://stallman.org/[...]
[51]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 Playlist
http://web.mit.edu/e[...]
[52]
웹사이트
Guantanamero
http://stallman.org/[...]
[53]
서적
Open Sources: Voices from the Open Source Revolution
O'Reilly Media
[54]
웹사이트
Richard Stallman's Personal Page
http://www.stallman.[...]
[55]
강연
Free Software in Ethics and Society
http://www.youtube.c[...]
2008-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